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데이터구조

7. 데이터 구조 - Queue의 이해 및 구현 1. queue의 개념스택의 경우, 나중에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구조인 후입선출인 반면, 큐는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구조로 이러한 특성은 선입선출(FIFO : first-in first-out)이라고 한다. 또한 큐는 뒤에서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되고 앞에서 데이터가 하나씩 삭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있기때문에 스택에서 삽입과 삭제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변수가 top 1개만 사용하였지만, 큐는 삽입에 관련된 변수를 rear 라고 하고, 삭제에 관련된 변수를 front라고 한다. 큐는 은행에서 기다리는 사람들의 대기열, 혹은 인터넷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들을 모델링하는데에 사용되곤 한다.  2. queue의 ADT그렇다면 queue의 ADT에 대해서 살펴보자.일단 queue를 기본적인.. 더보기
6. 데이터 구조 - 스택의 응용(후위 표기 수식의 정의와 계산) 1. 후위표기 수식이란?우리는 많은 수식을 사용한다. 그중 우선 순위가 다른 연산자들이 있어 계산을 해야하는 순서가 정해져 있다.우리야 각각의 연산자들의 모양을 보고 우선 순위를 파악하지만, 컴퓨터는 어떠한 방식으로 수식을 계산할까? 수식을 표기하는 방식에는 3가지 방식이 있고, 이를 구분하는 방식은 연산자와 피연산자의 위치이다.1. 중위표기법 : 연산자가 피연산자 사이에 있음2. 후위표기법 : 연산자가 피연산자 뒤에 있음3. 전위표기법 : 연산자가 피연산자 앞에 있음 중위전위후위3+4*5+3*45345+*a*b+5+*ab5ab*5+ 컴퓨터는 이 3가지 표기중 후위표기법을 사용한다. 그래서 프로그래머가 인간들이 자주쓰는 표기법인 중위표기법으로 작성하면 컴파일러는 이것을 후위표기법으로 바꾸어 사용한다. 그.. 더보기
1. 데이터 구조 공부를 시작하며... 저는 사실 데이터 구조가 if문이나 for문, 배열 등 새로운 개념일 줄 알았습니다. 그래서 굉장히 기대하며 시작했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처음 배울 때부터 생각보다 난관이었습니다. 제가 배웠던 여러 개념들을 잘 조합해서 하나의 거대한 구조를 돌아가게 만드는 것, 그것이 데이터 구조였습니다. 과거의 개념을 정확하게 잡지 않았던 저는 단순히 외우는 데에 급급했습니다. 결국 머릿속에 들어오는 것은 거의 없었습니다.(ㅠ) 그래서 다시 공부를 시작하며 이 블로그에 정리해보려고 합니다...이 글을 보는 여러분도 꼭 기본 개념을 정확하게 익히고 데이터 구조 공부를 시작하길 바라며!!데이터 구조 공부를 시작해보겠습니다...!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