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저는 사실 데이터 구조가 if문이나 for문, 배열 등 새로운 개념일 줄 알았습니다. 그래서 굉장히 기대하며 시작했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처음 배울 때부터 생각보다 난관이었습니다.
제가 배웠던 여러 개념들을 잘 조합해서 하나의 거대한 구조를 돌아가게 만드는 것, 그것이 데이터 구조였습니다. 과거의 개념을 정확하게 잡지 않았던 저는 단순히 외우는 데에 급급했습니다. 결국 머릿속에 들어오는 것은 거의 없었습니다.(ㅠ)
그래서 다시 공부를 시작하며 이 블로그에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이 글을 보는 여러분도 꼭 기본 개념을 정확하게 익히고 데이터 구조 공부를 시작하길 바라며!!
데이터 구조 공부를 시작해보겠습니다...!

반응형
'코딩 > 데이터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데이터 구조 - 스택의 응용(후위 표기 수식의 정의와 계산) (1) | 2024.09.13 |
---|---|
5. 데이터 구조 - 동적할당(malloc,realloc)과 스택(stack) (0) | 2024.09.06 |
2. 데이터 구조 - 포인터의 개념과 swap 함수 만들어 보기 (0) | 2024.08.11 |
4. 데이터 구조 - stack의 구조체화 (0) | 2024.08.11 |
3. 데이터 구조 - ADT의 개념과 stack의 이해 및 구현 (0) | 2024.08.11 |